본문 바로가기
Issue 세상의 이슈

대만 지진, 25년 만의 가장 큰 지진 발생

by CODINOTE 2024. 4. 3.
반응형

24년 4월 3일 오늘 오전, 모두들 출근길로 바쁘게 움직였을 그 시간, 대만 동부에서는 대지진이 발생했다.

그 지진의 규모는 무려 7.2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는 안타깝지 않을 수가 없다.

오늘은 대만에서 발생했던 대지진에 대해 이야기를 써보려 한다.

지진으로 인해 약 5~6층 짜리의 건물이 기울어진 모습이다.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기울어진 모습이다.

반응형

[ 목차 ]

    1. 25년 만의 가장 큰 지진

    서론에서 간단하게 언급했듯 이번 대만 대지진은 대만 내에서도 25년 만의 가장 큰 대지진이라고 한다.

    그 규모는 7을 훌쩍 넘어가니, 어느 정도의 강도와 피해일 지 감히 예상할 수 없을 정도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는 출근 시간대에 재해가 발생했다고 하니, 더 큰 피해를 낳지 않았을까 우려가 된다.

    지진맵에서 볼 수 있듯 화롄이라는 도시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서 지진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지진의 진앙지

    4월 3일 오전 7시 58분 대만 동부, 인구 35만 명 정도의 도시 화롄의 남동쪽 방향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대만중앙기상국에 따르면 이번 대지진의 진앙은 북위 23.77도, 동경 121.67도로 화롄으로부터 남남동쪽으로 약 25km 가량 떨어진 곳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지진의 발생 깊이는 15.5km로 대만 전역에서 흔들림을 느꼈을 정도라고 한다.

     

    진앙지가 화롄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이기 때문에 큰 피해가 나타난 것이라 보고 있다.

     

    2. 피해 규모?

    이번 강진으로 일부 건물이 무너지고, 정전이 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대만 정부는 이번 지진으로 인해 최소 9명이 숨지고, 800여 명의 부상자가 속출했다고 밝혔다.

    또한, 약 100여 채의 건물이 무너졌으며, 이로 인해 최소 127명의 사람들이 무너진 건물에 갇혀 있을 것이라 추측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상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첫 강진 이후 강도 6.5의 여진 등 총 76차례나 달하는 여진이 계속해서 발생했다.

    지진으로 인해 7층 정도 가량의 건물이 기울어진 모습이다.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기울어진 모습이다.

     

    3. 지진 피해 이후, 현재

    화롄 당국은 체육관이나 운동장 같은 곳에 임시 대피소를 만들어 사람들을 대피시켰다고 한다.

    다행히 지진 발생 후 약 2시간이 지난 후 전기는 다시 들어왔다고 한다.

    지진으로 인해 산사태 및 터널이 무너지며 도로는 폐쇄된 상태이고, 경찰, 소방관 등 무너진 건물 잔해에 갇혀 있는 사람들을 구출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또한, 대만은 앞으로 3~4일 내에 규모 6.5 ~ 7.0의 여진이 일어날 수 있다며, 지진의 여파가 지속될 것이라 예측하며 대비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만 총통은 빠르게 긴급 대응반을 구성하였고, 정부 관계자들과 대응책을 논의했다고 한다.

    또한, 오는 4일부터 대만의 청명절 연휴로 인해 사람들이 몰릴 것을 우려하여 조상의 묘에 가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이번 지진 발생 후 여파로 인해 주변국에도 쓰나미 경보가 내려졌었다.

    일본의 오키나와와 필리핀은 쓰나미가 본국을 덮칠 걸 우려하며 경보를 내리는 등 경계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다행히 두 국가 모두 큰 피해 없이 오후에는 경보를 해제했다고 한다.

     

     

    대만 또한, 불의 고리에 속해있는 국가로써 지진 피해가 자주 있는 국가이다.

    하지만 이번 지진은 25년 만의 대지진이라고 할 정도로 그 규모가 굉장히 컸고, 진앙지 또한 마찬가지로 본국으로부터 멀지 않은 위치였기에 그 피해가 더 컸던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이상의 여진 피해 없이, 사상자 없이 빠르게 사람들을 구출하고, 무너진 지역은 재건하여 회복되길 바랄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