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hopping mall 쇼핑몰

보세 옷의 의미

by CODINOTE 2023. 7. 22.
반응형

최근 동대문과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했었다

 

문득 동대문 의류를 부르는 말인 '보세'라는 단어에 대해 궁금해지더라

 

그래서 오늘은 보세 옷의 의미가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보세의 의미

 

보세

: 보류관세의 준말로, 수출입 과정에서 관세의 부과를 유보 또는 보류하는 것. 특정 구역이나 운송 상태에 적용된다.

 

보세 의미

 

하지만 현재 우리는 브랜드가 없는 값싼 의류들을 보세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관세법에 관련된 용어가 어떻게 이런 옷을 칭하는 단어로 쓰이게 된걸까?

 

 

'보세'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이유

 

관세법에 관련된 용어가 패션업계의 쓰이는 이유는 과거 국내의 한 제도 때문이다

 

1970년대에 한국이 의류의 수출장려를 위해 보세제도를 실시했던 적이 있다고 한다

 

해당 제도는 다음과 같다

해외의 고급원단을 수입 후 국내의 노동력으로 의류를 생산, 이를 다시 해외에 수출하는 과정에서, 원단 수입 때 발생하는 관세를 당장에 지불하지 않고, 수출이 되면 그때 지불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준 것이다

 

하지만 이후 계약이 취소되거나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이 의류들이 수출되지못하고 창고에 남아있게 되었다

그 창고가 바로 보세창고이며, 동대문 시장이나 이태원 등 같은 위치에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옷은 국내 보세창고에 쌓여만 가고 있으니, 일부 업자들이 이 의류들을 택만 제거한 채 국내 시장에 내다 팔기 시작했다

애초에 수출용으로 의도하고 제작된 고급 의류였기에 국내 시장에서 소비자들은 '보세 의류 = 좋은 의류'로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당연히 불법이었기 때문에 보세창고 근처의 소매점에서 헐값에 팔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이 의류들은 엄청난 가성비를 갖게 되었고, 이 의미가 지금까지 남아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현대에는 브랜드가 붙지 않은 의류를 칭하는 단어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보세 의류가 동대문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이유


위에서 이야기 했듯 과거 보세창고는 동대문 시장의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이 의류들을 불법적으로 판매하는 업자들은 굳이 위험을 감수하여 먼 거리까지 이동하여 판매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근처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했을 것이고, 그 결과 지금의 동대문 시장이 갖춰지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은 퀄리티의 옷이 헐값에 판매가 되고 있으니, 당연히 거저 먹는다는 느낌이 강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불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세 의류에 대한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졌을거라 생각된다

 

이로 인해 국내의 소비자들은 보세 의류를 계속해서 찾게 되었고, 동대문 보세 시장이 거대해질 수 있는 발판이 되지 않았을까?

 

지금이야 예전과 달리 그 의미가 변화했지만, 비싼 브랜드의 의류를 구매할 바에, 싸지만 퀄리티가 좋은 보세 의류를 구매하겠다는 관습이 지금까지 남아있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보세와 구제 의류

 

구제 의류의 경우,

남이 입은 적이 있거나 최소한 이미 한 번 팔렸던 상품을 저가에 재판매한다는 의미이다

동묘 구제 시장 / 동대문 보세 시장 apm

쉽게 말해 보세 의류는 갓 생산해 낸 새 옷이지만, 구제 의류는 누군가 입은 적이 있는 빈티지인 것이다

 

그리고 보세 의류는 NO BRAND, 말 그래도 브랜드가 없는 의류이며,

구제 의류는 오래되었을 뿐, 브랜드가 존재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반응형